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캔디캔디

최근 편집일시 : (♥ 0)

캔디♥캔디/들장미 소녀 캔디
キャンディ♥キャンディ
파일:external/allserieslinamarcela.files.wordpress.com/candy20copertina.jpg
장르순정
작가나기타 케이코(글)
이가라시 유미코(그림)
연재 기간1975년 4월호 ~ 1979년 9월호
연재처나카요시
출판사코단샤
레이블KC나카요시
단행본 권수9권 (1979. 03. 19. 完)
1. 개요
2. 발매 현황
3. 줄거리
5. 수상
6. 한국에서의 캔디
7. 미디어 믹스
7.1. 애니메이션
7.1.1. 주제가
7.1.2. 회차 목록
8. 저작권 분쟁
9. 기타



1. 개요[편집]


1차 세계대전 전후의 영국미국을 배경으로 한 순정만화. 스토리는 나기타 케이코(名木田恵子)[1], 작화는 ​이가라시 유미코(いがらしゆみこ)[2]가 담당했다.

원제는 중간에 하트가 들어간 '캔디♥캔디'. 잘 알려진 들장미 소녀 캔디는 한국 TV판 제목인데 이게 의외로 잘 맞는다. 요즘 애니와는 달리 고전애니가 여타 그렇듯 원작보다 더빙으로 다 본 경우가 많아서 후자의 제목이 대한민국에선 전자보다 매우 익숙하다. 다만 한국 판본 중에 원제가 캔디♥캔디인 해적판 단행본도 존재한다.


2. 발매 현황[편집]


만화판은 1975년부터 1979년까지 코단샤의 <나카요시>에서 연재된 바 있으며, 초판은 KC나카요시 레이블로 나왔다가 1991년 2권짜리 애장판, 1992년 5권짜리 특장판으로 각각 다시 나왔고, 1995년 중앙공론사를 통해 총 6권짜리 문고판을 냈다.


3. 줄거리[편집]


다 읽고 나면 이게 소녀 성장물인지 운명적인 사랑이야기인지 고개를 갸웃하게 만들지만, 기본적으로 캔디라는 밝고 씩씩한 고아 소녀가 성장하여 자신의 인생을 개척해 나간다는 큰 틀 속에 있다는 점만큼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캔디는 처음부터 끝까지 의도적으로 잘난 남자를 만나 신분 상승할 생각은 1%도 없었는데,[3] 어쩌다 보니 오만 잘난 남자들이 꼬이게 된 것. 어떻게 보면 키다리 아저씨 포지션.

등장인물들의 주요 활동 무대를 기준으로 레이크우드 편, 런던 편, 기숙사(감옥)가있다 메리제인간호학교 편, 시카고 편 크게 4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체 스토리가 주인공 캔디스 화이트 아드레이의 시점에서 전개되므로 구체적인 에피소드는 해당 문서 참조.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캔디캔디/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수상[편집]


일본 걸작 만화(쇼와편)
[ 펼치기 · 접기 ]

2009년 아사히 신문은 '일본 만화 역사의 길이 남을 걸작 쇼와 시대 만화 순위'를 발표했다.
1위내일의 죠
2위사자에상
3위심술쟁이 할머니 (いじわるばあさん)》
4위거인의 별
5위철완 아톰
6위우주전함 야마토
7위카무이전
8위붉은 갑의 스즈노스케 (赤胴鈴之助)》
9위블랙 잭
10위터치
11위베르사이유의 장미
12위불새
13위고르고13
14위맛의 달인
15위에이스를 노려라!
16위바람계곡의 나우시카
17위오소마츠 군
18위도라에몽
19위루팡 3세
20위은하철도 999
21위오바케의 Q타로
22위도카벤
23위시끌별 녀석들
24위유리가면
25위겐지모노가타리
26위하이카라씨가 간다 (はいからさんが通る)》
27위이가의 카케마루 (伊賀の影丸)》
28위사이보그 009
29위캔디 캔디
30위철인 28호
공동 31위어택 넘버원 (アタックNo.1)
메종일각
33위리본의 기사
34위나의 하늘 (俺の空)》
공동 35위노라쿠로 (のらくろ)》
후지 산타로 (フジ三太郎)》
공동 37위캡틴
게게게의 키타로
드래곤볼
40위아돌프에게 고한다
공동 41위아이와 마코토 (愛と誠)》
시마 과장
43위3번가의 석양 (三丁目の夕日)》
44위꼬마숙녀 치에
45위천재 바카본
공동 46위닥터 슬럼프
웃는 세일즈맨
공동 48위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
북두의 권
50위에이트맨
출처



{#000000,#dddddd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 펼치기 · 접기 ]

※ 2012년 아사히 신문이 철완 아톰 이후 50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TV 애니메이션 104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순서는 연도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철완 아톰밀림의 왕자 레오요술공주 샐리마하 GoGoGo게게게의 키타로
거인의 별비밀의 아코짱타이거 마스크사자에상내일의 죠
루팡 3세데빌맨과학닌자대 갓챠맨마징가 Z에이스를 노려라!
알프스 소녀 하이디마법소녀 메구짱우주전함 야마토만화 일본 옛날이야기감바의 모험
타임보칸잇큐씨엄마찾아 삼만리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캔디캔디
얏타맨미래소년 코난은하철도 999보물섬빨강머리 앤
도라에몽기동전사 건담베르사이유의 장미전설거신 이데온닥터 슬럼프와 아라레짱
꼬마숙녀 치에시끌별 녀석들초시공요새 마크로스미래경찰 우라시맨장갑기병 보톰즈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캡틴 츠바사북두의 권터치드래곤볼
세인트 세이야시티헌터키테레츠 대백과날아라 호빵맨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마루코는 아홉살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짱구는 못말려
유유백서닌자보이 란타로슬램덩크슬레이어즈신세기 에반게리온
명탐정 코난용자왕 가오가이가포켓몬스터소녀혁명 우테나카우보이 비밥
카드캡터 사쿠라오자루마루꼬마마법사 레미∀건담원피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방가방가 햄토리갤럭시 엔젤테니스의 왕자오버맨 킹게이너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나루토기동전사 건담 SEED강철의 연금술사플라네테스
빛의 전사 프리큐어블리치AIR허니와 클로버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작안의 샤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혼제로의 사역마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천원돌파 그렌라간전뇌 코일기동전사 건담 00트루 티어즈마크로스 프론티어
스트라이크 위치스이나즈마 일레븐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케이온!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골판지 전기TIGER & BUNNY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출처



2021년 일본 만화 총선거
[ 펼치기 · 접기 ]

2021년 1월 2일 테레비 아사히가 발표한 신년 특집 '만화총선거 일본 국민 15만명이 뽑은 좋아하는 만화 베스트 100'의 결과다.
전세대를 대상으로 조사했고 한 사람당 좋아하는 만화 5개를 적었다. 중복 투표는 금지됐다.
1위원피스(포인트: 33,600점)
2위귀멸의 칼날(29,100점)
3위슬램덩크(26,700점)
4위명탐정 코난(25,400점)
5위드래곤볼(22,400점)
6위진격의 거인(21,900점)
7위나루토(19,800점)
8위하이큐!!(18,700점)
9위강철의 연금술사(18,500점)
10위죠죠의 기묘한 모험(17,100점)
11위헌터×헌터(16,200점)
12위은혼(16,100점)
13위킹덤(15,200점)
14위월드 트리거(11,700점)
15위도라에몽(11,300점)
16위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900점)
17위유유백서(8,600점)
18위블랙 잭(8,200점)
19위주술회전(8,000점)
20위나츠메 우인장(7,400점)
21위유리가면(7,100점)
22위북두의 권(7,000점)
23위블리치(6,950점)
24위터치(6,900점)
25위불새(6,800점)
26위바나나 피쉬(5,800점)
27위베르사이유의 장미(5,600점)
28위이누야샤(5,300점)
29위내일의 죠(5,100점)
30위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4,950점)
31위바람의 검심(4,900점)
32위메종일각(4,600점)
33위금색의 갓슈!!(4,400점)
34위포의 일족(4,100점)
35위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4,080점)
36위고르고13(4,060점)
37위사자에상(4,040점)
38위거인의 별(4,020점)
39위철완 아톰(4,000점)
40위골든 카무이(3,950점)
41위도쿄 구울(3,900점)
42위도카벤(3,850점)
43위5등분의 신부(3,800점)
44위에이스를 노려라!(3,600점)
45위동물의사 Dr.스쿠르(3,450점)
46위약속의 네버랜드(3,400점)
47위더 화이팅(3,100점)
48위요괴소년 호야(3,000점)
49위마스터 키튼(2,900점)
50위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2,850점)
51위암살교실(2,800점)
52위쿠로코의 농구(2,750점)
53위흑집사(2,700점)
54위테니스의 왕자(2,650점)
55위하이카라씨가 간다(2,600점)
56위캔디캔디(2,300점)
57위시티헌터(2,290점)
58위체인소 맨(2,260점)
59위노다메 칸타빌레(2,230점)
60위기생수(2,200점)
61위시끌별 녀석들(2,000점)
62위카드캡터 사쿠라(1,900점)
63위근육맨(1,850점)
64위문호 스트레이독스(1,800점)
65위페어리 테일(1,790점)
66위두근두근 투나잇(1,760점)
67위가정교사 히트맨 REBORN!(1,730점)
68위봉신연의(1,700점)
69위사이보그 009(1,550점)
70위꽃보다 남자(1,500점)
71위철인 28호(1,300점)
72위H2(1,250점)
73위은하철도 999(1,200점)
74위데빌맨(1,160점)
75위마기(1,130점)
76위맛의 달인(1,100점)
77위아부상(1,050점)
78위우주전함 야마토(1,000점)
79위바사라(990점)
80위캡틴(980점)
81위바리바리 전설(960점)
82위히카루의 바둑(950점)
83위메이저(930점)
84위불꽃 소방대(920점)
85위지박소년 하나코 군(900점)
86위꼭두각시 서커스(890점)
87위후르츠 바스켓(860점)
88위바람의 대지(830점)
89위유한클럽(800점)
90위ARIA(780점)
91위베르세르크(760점)
92위마카로니 호렌소(740점)
93위리본의 기사(720점)
94위여친, 빌리겠습니다(700점)
95위D.Gray-man(690점)
96위스켓(660점)
97위캡틴 츠바사(640점)
98위천사가 아니야(600점)
99위3월의 라이온(580점)
100위닥터 스톤(560점)
2021년 발표, 출처1 / 출처 2





6. 한국에서의 캔디[편집]


1970년대에 '캔디캔디' 란 제목의 해적판 만화로 처음 한국에 등장해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1977년 9월 19일부터[4] 1980년 1월 21일까지 MBC에서 매주 월요일 오후 6시마다 '캔디' 란 제목으로 애니메이션을 방영하면서 더더욱 인기를 끌었다.

파일:attachment/cancan.jpg

1981년에는 실사판 영화까지 만들었을 정도. 특이하게 감독은 사극 전문인 최인현이 맡았다. 80년대 영화답게 멘션이 참 멋있다.

1983년 4월 3일부터[5] 1984년 5월 27일까지 들장미 소녀 캔디 란 제목으로 동일 방송사에서 재더빙해[6][7] 매주 일요일 아침 8시부터 1회당 2편씩 총 50분을 방영했으며 역시나 큰 인기를 얻었다. 안소니와 테리우스를 맡았던 권혁수는 오빠부대를 몰고다닐 만큼 폭발적인 인기를 끌어 1980년대의 대표적인 미소년, 미청년 역 전담 성우로 자리잡았다.오빠 사랑해요 그리고 1989년에는 화인프로덕션에서 MBC판과는 다른 성우진을 캐스팅해서 녹음된 대여용 비디오테이프도 출시되었다. 2007년 3월 5일부터 대교어린이TV에서 매주 월~토 오전 9시 30분 및 오후 6시 20분마다 비디오판을 방영하기도 했으며, 혜은이를 모셔다가 다시 주제가를 부르게끔 했다.

애니메이션 방영 이후 한국에서 고난을 헤쳐나가는 주인공은 '캔디형 주인공' 이라 불리게 되었고 머리 좀 장발로 기른 미남 남자 연예인이 나왔다 하면 별명이 테리우스가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2010년대 이후에도 현재진행형이다.


7. 미디어 믹스[편집]



7.1. 애니메이션[편집]


캔디캔디 (1976~1979)
キャンディ♡キャンディ
파일:캔디캔디_애니.jpg
작품 정보 ▼
원작미즈키 쿄코(水木杏子)
치프 디렉터이마자와 테츠오
시다라 히로시(設楽 博)
캐릭터 설계 / 감수신도 미츠오
미술 설정우라타 마타지(浦田又治)
음악와타나베 타케오
애니메이션 제작토에이 동화
제작NET TV
아사히 통신사
토에이
방영 기간1976. 10. 01. ~ 1979. 02. 02.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NET TV / (금) 19: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BC
국내 정식 발매화인프로덕션 (VHS)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115화
국내 심의 등급연소자 관람가 (VHS)

국내 정식 방영 명칭
MBC캔디(본방판) / 들장미 소녀 캔디(재방판)
화인프로덕션들장미 소녀 캔디 캔디

애니판은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제작해 1976년 10월 1일부터 1979년 2월 2일까지 테레비 아사히계 민방을 통해 방영됐으며, 감독은 이마자와 테츠오&시다라 히로시.


7.1.1. 주제가[편집]


주제가 작곡은 와타나베 타케오가, 작사는 원작 스토리를 쓴 나기타 케이코가 했으며, 가사 속에서 캔디의 밝은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웃으면서 달려가자 푸른 들을" 이라든가 "나 홀로 있을 땐 어쩐지 쓸쓸해지지만 그럴 땐 얘기를 나누자 거울 속의 나하고" 같은 구절 때문에 농담삼아 캔디 광년이 설이 나오기도 했다. 게이머즈에서 만화로 그려지기도 했다(...)

워낙 작품이 큰 인기를 끈 덕분에 애니메이션 주제가 역시 한일 양국에서 모두 히트를 쳤다.



오프닝의 전조부 '외로워도~슬퍼도~ 나는 안울어~'부분과 전국 노래자랑 BGM에서 실로폰 소리가 끝난 후 바로 나오는 부분의 멜로디와 비슷하다는 의견이 있다. 실제로 이를 섞어놓은 사람이 있는데 한번 직접 들어보자.

일본판은 호리에 미츠코[8]가 불렀다. 이 캔디캔디가 얼마나 메가히트를 했는지 호리에 미츠코는 해당 주제곡에 짓눌렸다고 한다. 그리고 원래 음반사에서는 동요와 같이 처리되던 애니메이션 노래가 별도 부서로 분리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발매사인 일본 컬럼비아에서 호리에 미츠코는 미소라 히바리 다음가는 거물로 취급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야말로 충공깽.

한국판은 몇가지 버전이 있는데, 1977년 더빙판은 당시 선화여자중학교 1학년생이던 소프라노 곽현주[9]부른 바 있고, 정여진씨가 부른 버전도 가장 잘 알려져 있고 인기 가수 혜은이도 1983년 더빙판 주제가를 불렀을 정도였다.[10] 원래 방송용은 준비 과정에서 석혜원[11]이 불렀다가 MBC 자체적으로 이런저런 얘기가 나온 끝에 혜은이가 방송용까지 맡았다.

그런데 한국판 오프닝 가사는 일본 오프닝 가사와 내용이 다르다. 원래 가사는 자신의 주근깨도 좋다는 내용이었는데 대한민국에서는 괴로워도 ~슬퍼도~ 나는 안 울어... 등등 어려움 속에서도 강인한 인내심으로 고난을 이겨낸다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진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일설에 의하면 당시 인고를 견뎌내는 어머니적 여성상을 심어주기 위해 이렇게 개사하라는 상부의 압박 때문이라고도 한다. 어찌되었든 한국판 오프닝의 작사자는 다른 이도 아닌 윤석중 선생이시다.


7.1.2. 회차 목록[편집]




8. 저작권 분쟁[편집]



사건의 발단은 이랬다. 1995년경 작화가인 이가라시 유미코가 닛폰 애니메이션 사이에서 캔디캔디의 리메이크 얘기를 꺼내면서 코단샤와 20년동안 맺었던 저작권 관리계약을 해제[12]한 데에서 비롯된다. 이에 닛폰 애니메이션 측도 글쓴이인 나기타 케이코에게 시나리오 제작을 맡기고자 제안했으나, 나기타 측은 이미 끝난 작품이라는 이유로 그 요청을 거절했다. 동년 11월에 나기타와 이가라시 양측은 영리 목적의 이용 및 상품화 시 쌍방이 동의해야 한다는 저작권 계약을 맺었으나, 관리자가 없어서 흐지부지되었다.

그 사이 이가라시는 1997년, 반프레스토 및 홍콩 캔디 코퍼레이션 측과 계약을 맺어 해당 작품의 캐릭터를 이용한 스티커 카메라를 출시했고, 홍콩 옥황조출판유한공사와도 독단적으로 계약을 맺어 광둥어판 만화책을 내기도 했다. 또한 후지산케이애드워크(현 콰라스) 등지와 계약을 맺어 고급 판화를 팔거나 오카야마현 구라사키시에 본인의 이름을 딴 미술관을 세워 굿즈를 파는 등, 이런 식으로 각종 캐릭터 사업을 벌인 게 점차 발각된 후 문제가 되어 원작자인 나기타 케이코가 1997년 11월에 이가라시와 후지산케이애드워크를 상대로 '복제판화 판매/배포금지'를 청구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이 사업에 앞선 1995년 11월에 이가라시 유미코와 나기타 케이코는 캔디를 이용한 부가 사업의 경우 쌍방이 협의하에 결정하기로 계약을 한 상태였음에도 이가라시 유미코는 이를 무시했던 것이다.

이에 이가라시는 이전에 원작자와 맺은 계약을 부정하며 '나기타 케이코는 원작자도 아니고 캔디에 대한 권리도 없다'는 식으로 주장하면서 재판 도중에도 이가라시 본인과 변호사는 "항소 중이므로 결정난 건 없다"느니, "이미 원작자랑 화해한 상태이다." 등 변명으로 일관한 채 캔디 캐릭터를 이용한 사업을 벌였다. 하지만 1999년 도쿄 지방법원과 2000년 도쿄 고등법원에서의 승소를 거쳐 2001년 10월, 일본 최고재판소는 나기타 케이코의 원작자로서의 권리를 인정하는 걸로 마무리되었다.

재판 이후에는 법적으로 나기타 케이코와 이가라시 유미코 둘의 동의가 있어야만 캔디라는 작품 자체의 저작권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가라시 유미코는 재판 결과와 상관없이 계속해서 원작자 쪽의 권리를 부정하고 이에 대해 나기타 케이코 측도 격분하는 일이 계속되면서[13] 결국 두 사람이 관련사항에 동의해야만 사용 가능한 캔디의 저작권은 사실상 봉인되었다. 사이가 상당히 험악해서 단적으로 나기타가 쓴 소설판이 다시 나왔을때도 이가라시 삽화가 전부 빠졌다. 캔디캔디의 인기 요인에 이가라시의 그림도 무시하지 못한다는 걸 생각하면 나기타 쪽에서 상당히 강경한 입장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해 만화판이건 애니판이건 다른 작화가를 쓰지 않는 이상 다시 나오는 것도 요원하다. 이러다보니 일본에서는 어른의 사정으로 환상의 작품이 된 케이스로 자주 거론되며, 현지 법률/저작권 전문가들과 출판업계에서 약방의 감초처럼 많이 언급되는 판례이기도 하다.

즉, 한국어 번역판이나 IPTV를 통해 서비스되는 캔디 애니메이션은 몽땅 해적판인 것이다. 일본에서 저작권 문제가 생겨서 해외 저작권은 누구도 신경쓰지 못하고 붕 떠버린 것이나 다름 없는 상황이다보니 완전히 대놓고 해적질(...) 대해적시대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본에서는 DVD 혹은 유료 VOD 형태로 발매가 되지 못하고 있지만 정작 대한민국에서는 화인프로덕션에서 해적판 DVD를 발매하였다. 전편 115화 20 디스크라는 분량임에도 5만원 이하로 쉽게 구하는 것이 가능. 일본에는 발매되지도 않은 DVD인데다가 가격까지도 5천엔으로 매우 저렴하여 역수입해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당연히 해적판인 만큼 국내 정식발매 항목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하지만 2004년에 캔디 주제가를 이용한 교보생명 CF[14]는 정식 판권이니 오해하지 말 것. 원작가(미즈키 쿄코=나기타 케이코)가 특별히 허가했다고 한다. 그리고 자신이 받은 저작권료를 한국의 소년·소녀 가장들에게 전액 기부하는 대인배스런 면모까지 보여주었다.

소설판의 경우에는 나기타 케이코가 권리를 온전히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법이 아니다. 나기타 케이코가 원작자의 권리를 인정받은 이후인 2002년에 소설판을 냈다고 했지만, 이미 1980년대부터 해적판이 나왔다.


9. 기타[편집]


  • 토에이 애니메이션 사이트로 들어가보면 캔디캔디 항목은 안 나온다. 누르면 그냥 처음으로 보내고 끝. 이는 전술한 원작자들 간의 저작권 분쟁 때문이다. 1992년에 총집편 극장판도 나왔다. 이때도 호리에 미츠코가 주제가를 불렀다. 단 시대가 시대인지라 성우는 몇몇 바뀌었다.

  • 2007년에 속편이 나왔다. 제목은 '캔디캔디 파이널 스토리'이다. 작가 나기타 케이코는 더 이상의 속편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작가의 구성 배경 및 의도는 여기에 나와있다. 파이널 스토리가 프랑스에 발매되었을 때의 인터뷰도 존재한다.#

  • 2005학년도 수능에서는 듣기평가에서 캔디 노래와 비교하는 지문이 출제되었다. 또 KBS2 1대 100 158회 후반전 3단계에서 원제목에 관해 문제를 냈는데 64명 중 25명이 탈락했다.(25*7=175만원 적립) 근데 보기가 1번 캔디 2번 캔디캔디 3번 캔디캔디캔디

  • 훗날 같은 원화가에 의해 들장미 소녀 제니란 작품이 나오지만... 수작이라는 평가를 받는 캔디와는 다르게 막장 드라마의 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해당 문서 참고.

  • 1996년에는 일본 정보센터 출판국을 통해 이론서 <캔디캔디 박스>가 출간된 바 있는데, 당시 세타가야 미술관 학예원이던 카와카미 치에코와 잡지 편집장이던 콘도 메구미가 공동으로 썼다. 이 책에선 주인공 캔디의 이력과 신체 사이즈, 명대사, 명장면, 패션의 변화, 극중 이동경로, 족보, 타 등장인물 정보 등이 담겼으며 극중 지명 해설, 작화가 이가라시와의 인터뷰, 용어까지 담아냈다.[15]



  • 오마이걸의 리더 효정이 자신을 소개할때 "캔디리더"라고 하는데, 캔디리더는 울지 않고 항상 웃는 리더라는 뜻으로 캔디리더의 캔디는 이 만화에서 따온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8:11:20에 나무위키 캔디캔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본업은 아동문학가로, 1949년 11월 28일 도쿄도에서 신문기자 나기타 카즈오(1913~1962)의 딸로 태어나 8세 때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모지 지방으로 이주했다가 도쿄 오치아이로 또 옮겼으며, 부모를 초등학교 및 고등학교 때 각각 잃고 숙부 밑에서 자랐다. 도립 사기노미야 고등학교 2학년 때 쇼가쿠칸 <여학생의 친구> 지 신인단편소설상에 입선한 뒤, 1968년 <よみがえり、そして夏は…>으로 문단에 등단하고 분카가쿠인 문과를 졸업했다. 나기타가 캔디 원작을 맡을 당시 필명은 미즈키 교코(水木杏子)였다. 이 외에 다른 필명이 몇 개 더 있다. 한국에 번역돼서 출판된 아동문학(명랑소설, 소녀소설)로 수수께끼 러브레터 사건이 있다.#1 #2[2] 1950년 8월 26일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 출생. 삿포로 아사히가오카 고등학교(北海道札幌旭丘高等学校)출신 여성 만화가. 스튜디오 지브리 사장인 호시노 코지와 같은 학교 출신이다. 고교 3학년 때인 1968년에 슈에이샤 《리본》 증간호를 통해 <백상어가 있는 섬(白い鮫のいる島)>으로 데뷔하여 주로 코단샤에서 활동했다. 참고로 아들도 만화가인데, 여장남자로 유명하다. 자세한 것은 이가라시 나나미 문서를 참조.(공식 홈페이지, 블로그, 페이스북)[3] 오히려 신분 상승을 꿈꾼 쪽은 캔디의 소꿉 친구인 애니 브라이튼이다.[4] 그 이전에는 미국 해나 바바라 애니 <걸리버 여행기>가 편성됐다.[5] 그 이전에는 <천년여왕>이 편성됐다.[6] 1977년본은 흑백이며, 1983년본은 컬러다.[7] 재더빙한 이유는 1977년 방영본이 유실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1977년은 MBC 본사가 정동(현재 경향신문 사옥)에 있었으며, 1982년 언론통폐합 당시 MBC와 경향신문이 분리되어 여의도 사옥으로 옮겨갔다. 이 과정에서 방영본이 유실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은하철도 999도 유사한 상황이어서 1996년 재방송 당시 재더빙을 거쳤다.[8] 가수 겸 성우이기도 한데,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세일러 스타즈세일러 갤럭시아의 성우가 이 사람이다.[9] 어릴 적부터 어머니 손에 이끌려 KBS 아기노래회에서 노래를 배워 4살 무렵에 김자경오페라단에 최연소 단원으로 입단하여 오페라에서 주로 아역을 도맡았고, KBS 어린이합창단과 리틀엔젤스예술단을 거치며 국제 무대 경험도 쌓았다. 그 사이 선화여자중학교/예술고등학교-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한 후, 줄리아드 스쿨에서 전문 연주자 과정을 받고 스토니브룩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땄다. 음악 커리어 동안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단 오디션, 로렌 재커리 소사이어티 콩쿠르 등지에서 상을 받기도 했다.(참고 자료)[10] SBS 강심장 2011년 12월 6일 방영분에서 직접 말했다.[11] 석혜원 버전은 1983년에 오아시스레코드사에서 발매한 은하철도 999 앨범에 실려있다.[12] 이럴 경우 애니메이션판 판권을 맺은 토에이 애니메이션(당시 토에이 동화)과도 자동 결별된다.[13] 2007년 캔디캔디랑 비슷한 짝퉁 캐릭터를 들고 대만 행사에 참여한 기록이 있다. 당연하겠지만 엄청나게 까였다.[14] 배우 김희애가 해당 광고에서 캔디 주제가 개사곡을 불렀다.[15] 출처: <망가 vs 만화> - 손상익 저. 초록배매직스. 2000. p89~91.